Python

[Python] 2023.10.30 // 캐멀, 스네이크, print(), 이스케이프 문자, 여러 줄 문자열, 문자 선택 연산자, 문자열의 길이 출력 len()

KIMJAVAN 2023. 10. 30. 19:04
728x90

1. 캐멀 케이스

ex ) Print AnimalLike 같이 첫 문자가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

캐멀 케이스는 클래스로 사용된다.

 

2. 스네이크 케이스

ex ) print input map_img 같이 첫 문자가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

스네이크 케이스는 뒤에 괄호가 있으면 함수이고

뒤에 괄호가 없으면 변수이다

 

** 단순한 구분이라 약간의 예외는 있다

 

print() = > 함수

list() = > 함수

math.pi = > 변수

class Animal = > 클래스

Beautiful() => 클래스이지만 뒤에 괄호가 있다. 이런 경우는 클래스 생성자라고 부르며 특이한 형태의 함수이다.

일단 Beautiful이라는 식별자는 클래스이다.


print() : 출력하기

괄호 안의 것을 출력한다.

print("안녕","하세요") = > '안녕 하세요' 로 출력함

 

print() 로 안에 아무것도 안넣고 출력하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단순 줄바꿈을 한다.

대화형 셸에 print()를 입력하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빈 줄을 만든 후 프롬프트를 출력한다.


이스케이프 문자

\n : 줄바꿈을 한다

\t : 탭을 의미한다


여러 줄 문자열

이스케이프 문자 중에 \n을 입력하면 줄바꿈이 가능하다

하지만 이런 식으로 쓰면 코드를 한 눈에 보기 힘들다

파이썬은 그래서 여러 줄을 쓸 수 있는 문자열 기능을 제공한다

print("""내용""")혹은
print('''내용''')

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3번 반복하는 것으로 여러줄의 문자를 \n을 사용하지 않고 표현 가능하다.

 

만약, 의도하지 않은 줄바꿈이 들어가지 않게 하려면

print("""\내용\""")
print('''\내용\''')

따옴표 앞 뒤에 백슬래시(한국은 원 기호)로 표현한다.


문자 선택 연산자 (양수, 음수 인덱스 출력)

print("파이썬"[0]) => '파' 출력

print("파이썬"[1]) => '이' 출력

print("파이썬"[2]) => '썬' 출력

 

print("파이썬"[-1]) => '썬' 출력

print("파이썬"[-2]) => '이' 출력

print("파이썬"[-3]) => '파' 출력

 

print("파이썬"[0:2]) => '파이' 출력 => 0부터(포함) 2까지(미만) 출력한다

print("파이썬"[1:2]) => '이' 출력 => 1부터(포함) 2까지(미만) 출력한다

 

print("파이썬"[0:]) = > '파이썬' 출력  = > 0번부터 출력

print("파이썬"[1:]) = > '이썬' 출력  = > 1번부터 출력

print("파이썬"[:2]) => "파" 출력 = > 뒤에서 두번째까지 출력

print("파이썬"[:1]) => "파이" 출력  = > 뒤에서 첫번째까지 출력

 

** 문자열보다 인덱스 범위값을 크게주면 오류가 발생한다


문자열의 길이를 구하기 len()

print(len("안녕하십니까"))
= > 6출력